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3)

Date:     Updated:

카테고리:

태그:

-

1-3. 관계

1. 관계 ( RelationShip )

  • 엔터티와 엔터티 사이의 연관성을 나타낸다.
  • 관계 정의 시 체크사항
    1. 두 엔터티 사이에 관심 있는 연관 규칙이 존재하는가?
    2. 두 엔터티 사이에 정보의 조합이 발생하는가?
    3. 업무 기술서, 장표에 관계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동사가 있는가?
    4. 업무 기술서, 장표에 관계연결에 대한 규칙이 서술되어 있는가?

2. 관계의 분류 2가지

  • 2-1) 존재에 의한 관계 : 존재 여부의 관계
    EX) 컴퓨터 학과에 홍길동이라는 사람이 있다. / 어떠한 행위로 인한 것이 아니라 존재 여부로 인한 관계
-
  • 2-2) 행위에 의한 관계 : 어떤 행위로 인한 관계
    EX) 홍길동 학생이 SQLD 기초 과목을 수강 신청한다. / 수강신청으로 생성된 관계
-

3. 관계의 표기법

  • 3-1) 관계 차수 : 두 엔터티 관계에 참여하는 수

    • 일대일 ( 1:1 ) 관계
      EX) 1명의 수험생은 1개의 수험번호를 가진다.
    -
    • 일대다 ( 1:N ) 관계
      EX) 1개의 컴퓨터 학과는 여러명의 학생이 존재한다.
    -
    • 다대다 ( M:N ) 관계
      EX) 다수의 학생들은 다수의 과목을 수강신청 할 수 있다.
    -


  • 3-2) 관계선택사양 (Optionality) : 필수적 관계, 선택적 관계

    • 필수적 관계 - 반드시 있어야 하는 관계 / ‘ I ‘ 로 표현한다.
      EX) 수험생이 있어야 수험번호가 생성된다.
    -
    • 선택적 관계 - 없을 수도 있는 관계 / ‘ O ‘ 로 표현한다.
      EX) 컴퓨터 학과가 있지만 홍길동 학생이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다.
    -

sqld 카테고리 내 다른 글 보러가기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