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 관련 신기술

Date:     Updated:

카테고리:

태그:

img

SW 관련 신기술


사물 인터넷


인공지능

  • 인간의 두뇌와 같이 컴퓨터 스스로 추론, 학습, 판단 등 인간지능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


뉴럴링크

  • 미국의 전기동차 회사 테슬라의 일론머스크가 사람의 뇌와 컴퓨터를 결합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설립한 회사
  • 뉴럴링크가 개발하고 있는 기술은 신경 레이스(Neural Lace)로, 작은 전극을 뇌에 이식함으로써 생각을 업로드하고 다운로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딥러닝

  • 인간의 두뇌를 모델로 만들어진 인공 신경망을 기반으로 하는 기계학습 기술


전문가 시스템

  • 의료 진단 등과 같은 특정 분야의 전문가가 수행하는 고도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


증강현실

  • 실제 촬영한 화면에 가상의 정보를 부가하여 보여주는 기술로, 혼합현실이라고도 부른다.


블록 체인

  • P2P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온라인 금융 거래 정보를 온라인 네트워크 참여자(Peer)의 디지털 장비에 분산 저장하는 기술


분산 원장 기술(Distributed Ledge Technology)

  • 중앙 관리자나 중앙 데이터 저장소가 존재하지 않고 P2P 망 내의 참여자들에게 모든 거래 목록이 분산 저장되어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지속적으로 갱신되는 디지털 원장을 의미함.


해시

  • 임의의 길이의 입력 데이터나 메시지를 고정된 길이의 값이나 키로 변환하는 것


양자 암호키 분배

  • 양자 통신을 위해 비밀키를 분배하여 관리하는 기술
  • 두 시스템이 암호 알고리즘 동작을 위한 비밀키를 안전하게 공유하기 위해 양자 암호키 분배 시스템을 설치하여 운용하는 방식으로 활용됨


프라이버시 강화 기술

  • 개인정보 침해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핵심 기술
  • 암호화, 익명화 등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기술에서 사용자가 직접 개인정보를 통제하기 위한 기술까지 다양한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을 통칭함.


공통 평가 기준 (Common Criteria)

  • 1999년 6월 8일 ISO 15408 표준으로 채택된 정보 보호 제품 평가 기준
  • 정보화 순기능 역할을 보장하기 위해 정보화 제품의 정보 보호 기능과 이에 대한 사용 환경 등급을 정한 기준


개인정보 영향 평가 제도 (PIA; Privacy Impact Assessment)

  • 개인정보를 활용하는 새로운 정보시스템의 도입 및 기존 정보시스템의 중요한 변경 시 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이 기업의 고객은 물론 국민의 사생활에 미칠 영향에 대해 미리 조사 분석, 평가하는 제도


그레이 웨어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입장에서는 악의적이지 않은 유용한 소프트웨어라고 주장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유용할 수도 있고 악의적일 수도 있는 애드웨어, 트랙웨어, 기타 악성코드나 악성 공유웨어를 말한다.


매시업(Mashup)

  • 웹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등을 만드는 기술이다. 즉, 다수의 정보원이 제공하는 콘텐츠를 조합하여 하나의 서비스로 제공하는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RIA; Rich Internet Application)

  • 플래시 애니메이션 기술과 웹 서버 애플리케이션 기술을 통합하여 기존 HTML보다 역동적이고 인터랙티브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신개념의 플래시 웹 페이지 제작 기술


시멘틱 웹 (Semantic Web)

  • 컴퓨터가 사람을 대신하여 정보를 읽고 이해하고 가공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이해하기 쉬운 의미를 가진 차세대 지능형 웹


증발품 (Vaporware)

  • 판매 계획 또는 배포 계획은 발표되었으나 실제로 고객에게 판매되거나 배포되지 않고 있는 소프트웨어


오픈 그리드 서비스 아키텍처 (OGSA; Open Grid Service Architecture)

  • 애플리케이션 공유를 위한 웹 서비스를 그리드 상에서 제공하기 위해 만든 개방형 표준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SOA ;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 기업의 소프트웨어 인프라인 정보시스템을 공유와 재사용이 가능한 서비스 단위나 컴포넌트 중심으로 구축하는 정보기술 아키텍처
  • SOA 기반 애플리케이션 구성 계층
    • 표현계층
    • 업무 프로세스 계층
    • 서비스 중간 계층
    • 애플리케이션 계층
    • 데이터 저장 계층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Saas; Software as a Service)

  • 소프트웨어의 여러 기능 중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소프트웨어 / 학교 기본 어플, 학교 수강신청 어플, 학교 공지어플 등


소프트웨어 에스크로 (Software Escrow)

  •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지식재산권을 보호하고 사용자는 저렴한 비용으로 소프트웨어를 안정적으로 사용 및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소스 프로그램과 기술 정보 등을 제3의 기관에 보관하는 것


복잡 이벤트 처리

  •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많은 사건들 중 의미가 있는 것만을 추출할 수 있도록 사건 발생 조건을 정의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디지털 트윈

  • 현실속의 사물을 소프트웨어로 가상화한 모델
  • 자동차, 항공, 에너지, 국방, 헬스케어 등 여러 분야에서 주목 받고 있음
  • 실제 물리적인 자산을 소프트웨어로 가상화함으로써 실제 자산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음
  • 자산 최적화, 돌발사고 최소화, 생산성 증가 등 설계부터 제조, 서비스에 이르는 모든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info-process 카테고리 내 다른 글 보러가기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