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Date:     Updated:

카테고리:

태그:

img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문제 1.

OSI 7계층 중 다음에서 설명하는 계층은?

⭐ 물리계층


문제 2.

다음에서 설명하는 기술을 영문 약어로 쓰시오.

⭐ 정답 : AJAX

  • AJAX는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의 줄임말로 ‘비동기식 자바스크립트와 XML’을 뜻한다.


문제 3.

다음 ( ) 안에 들어갈 단어를 쓰시오.

⭐ 정답 : XML


문제 4.

다음 ( ) 안에 들어갈 단어를 쓰시오.

⭐ 정답 : JSON


문제 5.

다음은 릴리즈 노트의 구성 항목에 관한 설명이다. 설명하는 항목은 무엇인가?

⭐ 정답 : 헤더 (머릿말)

헤더 : 개요 / 목적 / 이슈 요약 재현 항목 : 수정·개선 내용 / 사용자 영향도 / 소프트웨어 지원 영향도 노트 : 면책 조항 / 연락 정보


문제 6.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의 기본 원리 중 살충제 패러독스(Pesticide Paradox)의 의미를 설명하시오.

⭐ 정답 : 동일한 살충제의 반복 사용 시 벌레에게서 내성이 생기는 것에 비유하여, 동일한 테스트 전략, 기법을 적용할 시 장애가 도출되지 않음을 의미


문제 7.

데이터 마이닝이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정답 : 많은 데이터 가운데 숨겨져 있는 유용한 상관관계를 발견하여, 미래에 실행 가능한 정보를 추출해 내고 의사 결정에 이용하는 과정


문제 8.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세가지 요소를 적으시오.

정답 : 의미, 구성, 타이밍


문제 9.

비선점형 스케줄링 HRN의 우선순위 계산식을 작성하시오.

⭐ 정답 : (대기 시간 + 서비스 시간) / 서비스 시간

Highest Response-ratio Next Scheduling

(최고) ( 응답시간 비율 ) ( 스케줄링 )

(대기시간+서비스시간)/ 서비스시간


문제 10.

아래는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의 4가지 속성이다. (가) , (나)에 들어가 단어를 적으시오.

속성 설명
(가) 트랜잭션은 연산들을 전부 실행하든지 전혀 실행하지 않아야 한다. 일부만 실행해서는 안 된다.
일관성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실행되면 데이터베이스 상태는 모순되지 않고 일관된 상태가 된다.
(나) 트랜잭션 실행 도중의 연산 결과는 다른 트랜잭션에서 접근할 수 없다.
지속성 트랜잭션이 성공했을 경우 영구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 정답 : (가) 처리량 / (나) : 응답시간 / (다) : 경과시간


문제 11.

다음은 소프트웨어 모듈화에 관한 설명이다. (가), (나)에 들어갈 단어를 각각 적으시오.

⭐ 정답 : (가) 결합도 / (나) 응집도

결합도는 약하게, 응집도는 강하게


문제 12.

데이터베이스 성능 개선과 관련하여 ‘데이터베이스 반정규화’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정답 : 시스템의 성능 향상, 개발 및 운영의 편의성 등을 위해 정규화된 데이터 모델을 통합, 중복, 분리하는 과정으로, 의도적으로 정규화 원칙을 위배하는 행위


문제 13.

다음의 시스템 구조도에서 팬인(Fan-in)이 2 이상인 것은?

Image description

⭐ 정답 : F, J


문제 14.

다음은 C언어로 작성된 코드이다. 코드의 실행 결과를 쓰시오. (단, 출력문의 출력 서식을 준수하시오.)

#include 
void align(int a[ ]) {
int temp;
for (int i = 0; i < 4; i++) {
  for (int j=0; j < 4 - i; j++)  {
    if (a[j]> a[j+1]) {
      temp = a[j];
      a[j] = a[j+1];
      a[j+1] = temp;
    }
  }
}

main( ) {
    int a[ ] = { 85, 75, 50, 100, 95 };
    align(a);
     for (int i = 0; i < 5; i++) printf("%d ", a[i]);
}

⭐ 정답 : 50 75 85 95 100

→ align 내부에 구현된 반복문은 버블 정렬의 구현이다.

시행횟수 1: { 75, 50, 85, 95, 100 }

시행횟수 2: { 50, 75, 85, 95, 100 }

시행횟수 3: { 50, 75, 85, 95, 100 }

시행횟수 4: { 50, 75, 85, 95, 100 }


문제 15.

다음은 C언어로 작성된 코드이다. 코드의 실행 결과를 쓰시오. (단, 출력문의 출력 서식을 준수하시오.)

#include 
main( ) {
   int c = 1;
   switch (3) {
      case 1: c += 3;
      case 2: c++;
      case 3: c = 0;
      case 4: c += 3;
      case 5: c -= 10;
      default: c--;
   }
   printf("%d", c);
}

⭐ 정답 : -8

→ 스위치문의 조건이 3이므로 case 3부터 시작한다. 그런데 케이스에 break문이 없으므로 밑의 4, 5, default 까지 모두 거쳐서 c는 -8이 된다.


문제 16.

다음은 Java언어로 작성된 코드이다. 코드의 실행 결과를 쓰시오. (단, 출력문의 출력 서식을 준수하시오.)

public class Test {
   static int[ ] arr( ) {
     int a[ ] = new int[4];
     int b = a.length;
     for(int i = 0; i < b; i++)
        a[i] = i;
     return a;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 args) {
     int a[ ] = arr( );
     for(int i = 0; i < a.length; i++)
        System.out.print(a[i] + " ");
  }
}

⭐ 정답 : 0 1 2 3

public class Test {
   static int[ ] arr( ) {         // int 배열을 리턴하는 arr()
     int a[ ] = new int[4];       // 길이가 4인 int배열 a를 선언
     int b = a.length;            // b에 4를 대입
     for(int i = 0; i < b; i++)   // i = 0, 1, ,2, 3
        a[i] = i;                 // int a[] = [0, 1, 2, 3]
     return a;                    // int a[] 를 리턴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 args) {
     int a[ ] = arr( );
     for(int i = 0; i < a.length; i++)    // i = 0, 1, 2, 3
        System.out.print(a[i] + " ");     // a[0] = 0 ...
  }
}


문제 17.

학생 테이블에 전기과 학생이 50명, 전산과 학생이 100명, 전자과 학생이 50명 있다고 할 때, 다음 SQL문 ①, ②, ③의 실행 결과로 표시되는 튜플의 수를 쓰시오. (단, DEPT 필드는 학과를 의미)

⭐ 정답 : 200, 3, 1

1) 학생 테이블에서 학과의 튜플을 가져온다.

전기과 50명 + 전산과 100명 + 전자과 50명 = 200

2) 학생 테이블에서 중복을 제거한 학과의 튜플을 가져온다.

전기과, 전산과, 전자과 = 3

3) 학생테이블에서, 학과가 전산과인 학생들의 학과를 중복을 제거한 후, 개수를 센다.

전산과 50명 → 중복을 제거(50개가 모두 전산과이므로 1개 남음) → 카운트


문제 18.

다음 보기는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관리 실무와 관련된 사례이다. 괄호안에 들어갈 가장 적합한 용어를 한글 또는 영문으로 쓰시오.

⭐ 정답 : 목표 복구 시간 (RTO; Recovery Time Objective)

→ 복구 목표 시점 (RPO; Recoery Point Objective)


문제 19.

다음 파이썬(Python) 스크립트의 실행 결과를 적으시오.

asia={"한국", "중국", "일본"}
asia.add("베트남")
asia.add("중국")
asia.remove("일본")
asia.update(["홍콩", "한국", "태국"])
print(asia)

⭐ 정답 : {“한국”, “중국”, “베트남”, “홍콩”, “태국”} (순서 무관)

→ update() - set 두개를 통합, set은 중복요소 불가능, 순서 무관


문제 20.

다음에서 설명하는 개발방법론은 무엇인지 적으시오.

⭐ 정답 : 애자일 방법론,

info-process 카테고리 내 다른 글 보러가기

댓글 남기기